변수와 상수
특정 이름에 특정 값을 담을 때 사용
let value=1; //선언: 하나는 변수, 하나는 상수
console.log(value);
변수
바뀔 수 있는 값, 한번 값을 선언하고 나서 바꿀 수 있음
let value=1;
console.log(value);
value=2;
console.log(value)
//1
//2
- 변수 선언할 때, let이라는 키워드 사용
- 한번 선언한 변수명과 똑같은 이름으로 선언 못함(다른 블록 범위 내에서는 가능)
상수
한번 선언하고 값이 바뀌지 않는 값, 값이 고정적임
const a=1;
a=2;
//error발생
❗️변수 선언 방식
var: 변수를 선언 하고, 똑같은 변수명으로 선언하여도 에러가 나오지 않고 각기 다른 값이 출력(단점!!!! 사용 안함)let: 변수 재선언 안됨, 변수에 재할당 가능
const: 변수 재선언, 재할당 모두 불가능
데이터 타입
숫자(Number)
let value=1;
문자열(String)
텍스트 형태의 값은 작은 따옴표 혹은 큰 따옴표로 감싸서 선언[둘 다 사용 가능하지만, 작은 따옴표 사용 선언]
let text='hello';
let name='자바스크립트';
참/거짓(Boolean)
참 혹은 거짓 두가지 종류의 값만 나타낼 수 있음(참은 true, 거짓은 false)
let good=true;
let loading=false;
⭐️ null vs undefined
null과 undefined는 자바스크립트에서 "없음"을 의미하는 데이터 타입
• null은 주로 '이 값이 없다'라고 선언할 때 사용
const friend=null;
• undefined는 아직 값이 설정되지 않은 것을 의미
let criminal; console.log(criminal);
'프론트엔드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즉시 실행 함수 (0) | 2023.01.06 |
|---|---|
| 자바스크립트란? (0) | 2022.1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