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2 개발 전 알아야할 기술과 구현 방법 1.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: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네트워크 프로토콜로, 통신하기 위한 규약 [동작] 1. 사용자는 브라우저라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 2.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URL을 치고 엔터를 누르면, 브라우저는 HTTP 요청을 해당 URL서버로 전송 3. 해당 서버는 그 결과인 HTTP 응답을 브라우저에 렌더링 함 [HTTP 요청] 요청에는 메서드를 지정 → 메서드는 호스트에게 지정한 리소스에 어떤 작업을 하고 싶은지 알려주는 역할 GET: 리소스를 가져올 때 사용 POST: 리소스에 대해 임의의 작업할 때 사용 → 새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요청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 PUT: 리소를 완전히 대체할 때 사용(클라이언트가 리소스 위치를 알.. 2022. 12. 31. HTTP 상태코드 HTTP 상태코드 소개 상태코드: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 1xx (Informational):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-> 거의 사용 안함 2xx (Successful): 요청 정상 처리 3xx (Redirection):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4xx (Client Error): 클라이언트 오류, 잘못된 문법 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5xx (Server Error): 서버 오류, 서버가 정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함 만약 모르는 상태 코드가 나타나면? 클라이언트가 인식할 수 없는 상태코드를 서버가 반환하면? → 상위 상태코드로 해석하여 처리 ex) 299? ► 2xx(Successful) 1. 2xx (Successful)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.. 2022. 12. 2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