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적 웹: 언제 접속해도 같은 리소스를 건네주는 웹 사이트
ex) 회사나 학교 소개 페이지, 댓글 기능이 없는 블로그 페이지
→ 개발자가 HTML, CSS, JS를 사용자에게 보여질 모습 최종본으로 코딩해서 서버에 올려놓음
동적 웹: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서버가 해당 정보를 반영하여 보여주는 웹 사이트
ex) sns, 게시판 페이지
→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내용이 입력되면, 새로고침할 때 업데이트 되도록 코딩해놓음
단점
1. 계속해서 새로운 데이터를 보관해야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까다로움
2. 같은 글을 보여주는데 서버가 매번 일을 하도록 코딩하는 것이 번거로움
→ 요즘, 동적 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적 웹 생성 툴(Jekyll, HUGO 등)로 블로그 많이 운영
'웹 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A? MPA? (0) | 2022.12.30 |
---|---|
디자인 패턴(MVC, MVVM, MVP) (0) | 2022.12.30 |
HTTP 헤더2 - 캐시와 조건부 요청 (0) | 2022.12.19 |
HTTP 헤더1 - 일반 헤더 (0) | 2022.12.04 |
HTTP 상태코드 (0) | 2022.12.02 |